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AAC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Opus(오디오 코덱)|Opus]] 비교 ==== 요즘은 [[Opus(오디오 코덱)|Opus]]라는 괴물이 나와서 이걸 쓸 수 있는 상황이라면 이놈과도 비교해 봐야 된다는 변수가 추가되었다. 인코더에 따라서 특정 비트레이트(64~80kbps 정도) 이하에서는 HE-AAC를, 그 이상에서는 AAC를 자동으로 선택해 주는 경우도 있다. 음원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48~160kbps 정도에서는 Opus가, 192kbps 이상에서는 AAC-LC가, 32kbps 이하에서는 HE-AAC가 효율이 더 높다. 코덱 성능 외적으로는 "컨테이너"의 범용성이 문제가 되는데, AAC의 컨테이너(mp4, m4a)는 보편적으로 이용가능하지만, opus의 컨테이너(ogg, mkv, mka, webm 등)은 재생환경과 프로그램 따라 지원/미지원이 갈리기도 한다. 가령 클라우드에서 음원을 웹으로 재생하려고 하는 경우, aac음원은 바로 재생되는데 opus음원은 다운로드를 유도(=음원파일로 인식조차 못하는 상황)한다던가 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opus를 mp4에 넣을 수 있지만 이는 최근(2020년 즈음) 이야기고(=미지원하는 인코더가 여전히 있고), 넣는다고 해서 재생을 보장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태그(음악)]] 정리하는 사람들은 이 범용성 때문에 mp4 메타데이터가 지원되는 aac를 이용하거나, id3 메타데이터가 지원되는 mp3를 이용하는 것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6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