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AAC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프로필 === [[파일:AAC 다이어그램.png]] AAC 코덱은 MPEG-2 Part.7, MPEG-4 Part.3, MPEG-D Part.3 규격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 MPEG-2 Part.7/MPEG-4 Part.3의 AAC-LC는 일반적으로 흔히 알려진 AAC이고, MPEG-4 Part.3의 AAC는 고효율(High-Efficiency) 고급 오디오 부호화를 뜻하는 HE-AAC(AAC+) 등의 여러 코덱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MPEG-D Part.3에는 [[USAC]](Extended HE-AAC, xHE-AAC)가 포함된다. 그렇기 때문에 용도에 따른 압축 모드에 따라 LC, LD, HE, ELD 등이 명시되어 있던 것. MP3 플레이어에서 AAC를 지원한다는 것은 대부분 AAC-LC를 가리키는 것이다. 압축 효율성은 프로필에 따라 [[WMA]]와 [[Vorbis]] 사이, 또는 [[Vorbis]] 수준, 또는 [[Vorbis]]보다 우위에 있다고 보면 된다. 현재 제일 많이 쓰이는 AAC 류의 코덱인 Apple 코덱의 압축률은 96kbps 이상 VBR에서 Vorbis와 비슷하며, 64kbps 이하나 CBR의 경우 Vorbis가 취약한 부분이기 때문에 AAC가 상대적으로 앞선다. 권장 비트레이트(kbps)는 다음과 같다. ||<tablebordercolor=#87ceeb><rowbgcolor=#87ceeb> '''{{{#1d8b15 프로파일}}}''' || '''{{{#1d8b15 모노}}}''' || '''{{{#1d8b15 스테레오}}}''' || '''{{{#1d8b15 5.1채널}}}''' || || xHE-AAC || 8~32 || 12~48 || - || || HE-AAC v2 || - || 24~40 || - || || HE-AAC || 24~56 || 48~80 || 96~192 || || AAC-LC || 56~128 || 80~320 || 256~768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6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