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FM방송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전송망 == 과거에는 방송국에서 제작된 방송을 FM 변조하여 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송신소]]로 전송하고(일반적으로 UHF 대역의 무선 전용망을 이용), 송신소에서는 이를 다시 중계하여 해당 방송국의 FM 주파수로 송출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현재는 거의 대부분의 방송국이 송신소와 유선 연결되어 있으며 방송 신호 역시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되는데, 거의 모든 방송국이 비용과 위치적 문제로 방송국에서 송신국까지 다이렉트로 선을 깔 수 없으므로, 완전히 전산화되어 버린 현대의 방송국 관리 시스템에서 통합 관리를 실시하기도 간편하다는 점 때문에 주로 [[KT]]에서 제공하는 폐쇄형 네트워크를 통해 상용 인터넷 회선[* 서울 본국 - 지방국 간 회선망으로 KT의 전용 광 케이블 망을 쓰기도 한다.]이나 디지털화된 UHF/SHF 전용 무선망[* 수도권 지역의 경우.]을 이용하여 [[aptX]] 코덱으로 음성을 송신소까지 전송하고 있다.[* aptX 코덱은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오디오 기기를 연결할 때 주로 쓰이는 손실 코덱이다.] 이 때문에 주요 방송국들에서는 언제부턴가 스마트폰 대중화와 하이파이 오디오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음질에 대한 시청자들의 니즈가 올라간 이후에 주요 방송국들에는 음질에 관한 클레임이 많이 증가했다고 하는 소문이 있으며, 이 때문인지 수년 내 대부분 방송국 ~ 송신소 간 전송 품질을 무손실화하고자 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6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