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NTSC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 참고로 NTSC의 의미는, "[[미국]] [[텔레비전]] 방송방식 표준화 위원회"이다. [[연방통신위원회]]에 의해 설립되었다. * 처음 컬러 TV 방송을 시작했을 때에는 "필드 연속 컬러 시스템"이라는 방식(3원색이 칠해진 회전원판으로 컬러신호를 받는 방식이었다. [[http://www.labguysworld.com/CBS_Columbia_003a.jpg|#]])을 채택했으나 얼마 안 가 [[6.25 전쟁]]으로 컬러방송 자체가 중단되었던 데다가 흑백 수상기하고 호환 자체가 안 되었기 때문에 보급이 미진했고 결국 1954년 들어 컬러방송을 재개했을 때 NTSC 방식을 채택하였다. 다만 컬러 텔레비전이 빨리 보급된 건 아니라서 1950년대 당시에는 컬러 TV는 부유층들이나 가지는 것이었고 컬러 TV가 대중화된 것은 1960년대 후반이 되어서였다. 또한 미국의 컬러방송 초창기엔 실용적인 비디오테이프 포맷이 없었고, 필름으로 녹화한다고 해도 컬러필름 자체가 무척이나 비쌌던지라 흑백필름을 사용해 컬러방송 자료들이 제대로 남아있지 않는 상황이라고 한다.[* 최초의 방송급 비디오테이프인 2인치 쿼드는 1956년에서야 나왔으나, 이마저도 컬러를 지원하는 기종은 2년 뒤인 1958년에 나왔고 보급은 더 늦었다.] * 지금은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방송이 서비스되기 때문에 [[선진국]]에선 자취를 감추고 있지만, 관련 기술과 예산이 부족한 [[개발도상국]]에선 아직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점으로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 송출이 완전 중단되었다.[* 이로 인해 KBS의 경우, [[KBS1]] HD, [[KBS2]] HD에서 HD로고만 제거되었다.] 한편, NTSC를 쓰던 [[대만]]은 같은 미국 표준인 [[ATSC]]를 당초에 채택했다가 철회하고 유럽 표준인 [[DVB]]를 채택했고, 선술한 변종 NTSC인 NTSC-J를 쓰던 [[일본]]은 아예 [[ISDB]]라는 독자방식을 개발해서 사용 중이다.[* 역시 미국식 NTSC-M을 쓰던 베네수엘라는 디지털 방송부터 일본식 ISDB로 갈아탔다.] * NTSC-M의 RF출력채널은 주로 VHF-Low 3, 4CH를 사용하며 NTSC-J는 VHF-Low 1, 2CH(NTSC-M에선 유선 95, 96CH와 동일) 케이블 컨버터[*홈터미널]에선 UHF 14번을 사용한다. * [[멀티시스템]] VCR은 UHF 14 ~ 69CH로 출력한다. [[분류:방송 기술]]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6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