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NTSC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색상 인코딩 == 휘도(Y) 신호는 기존의 흑백 수상기와 호환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YUV|IQ]] 색상 신호는 3.579545 MHz의 부반송파로 [[변조(통신)#s-3.4|QAM]] 변조되어 휘도 및 동기화 신호와 합성([[CVBS|컴포지트 비디오]])되어 있다. 때문에 컬러를 복조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위상과 진폭을 제공하는 컬러버스트 신호가 필요하다. 비디오 신호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 크로마 서브샘플링과 유사한 기술이 적용되어 있는데, 인간은 색상보다는 밝기에 민감하기 때문에 휘도에 해당하는 Y의 [[대역폭]]이 가장 넓다. 또한 I에 해당하는 색상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I의 대역폭이 Q의 대역폭보다 넓다. NTSC-M의 스펙트럼 사진에서도 볼 수 있듯이 NTSC의 색상 부반송파 신호는 휘도 및 동기화 신호와 대역이 겹친다. 그러나 휘도 및 동기화 신호의 경우 동기화 신호의 주기성으로 인해 스펙트럼상에 고르게 퍼져 있지 않고 주로 특정 대역에 집중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색차 신호와 큰 간섭이 생기지 않는다. 특히 수평 주파수의 1/2의 배수로 색상 신호를 변조하면 휘도 신호화 간섭이 가장 최소화됨을 발견하였다. 그에 따라 색상 부반송파 주파수가 3.579545 MHz(= 315/88 MHz = )로 정해지게 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오디오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NTSC의 수평주파수가 15.750 kHz에서 15.734 kHz로 약간 조정되었다. 이 때문에 NTSC 디코더는 주로 노치 필터 혹은 COMB 필터라는 것을 가지게 되는데 노치 필터는 주파수 필터로 합성(CVBS) 신호에서 휘도와 색상 부반송파의 주파수만 정확하게 추출하는 역할을 하고, COMB 필터는 빗 모양의 주파수 응답을 가진 필터로 NTSC의 휘도 및 동기화신호와 색차 신호가 빗 모양으로 반복적으로 엇갈리며 들어가 있기 때문에 COMB 필터를 이용하면 휘도 및 동기화 신호와 색상 신호를 노치 필터보다 정교하게 분리할 수 있다. DSP 수신기에는 주로 3차원 COMB 필터가 주로 쓰이고 있으며, [[딥러닝]]을 활용하여 더 정밀하게 신호를 분리하는 필터도 만들어졌다. 컬러수상기를 비교적 저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잡음 유입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색상 변조에 신호의 위상의 변화에 따라 왜곡이 심하게 발생하는 QAM을 사용하기 때문에 색상 왜곡이 많이 발생한다. 때문에 '''Never Twice the Same Color'''라는 비아냥을 듣기도 한다. 다만 지상파 RF 송출이 아닌 아날로그 영상 라인연결(대표적으로 VCR를 TV에 외부입력으로 연결하기)의 경우라면 이는 별다른 문제는 되지 않는다. [[PAL]]이 이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 했으며, [[SECAM]]은 아예 색상 신호 변조에 QAM을 사용하지 않아서 이 문제에서 자유롭다. 흑백수상기와 호환된다. 단, 착각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 있다면, 흑백수상기용으로 개발된 것에 컬러신호를 추가한 형식이기 때문에 별도의 변환장치 없이 흑백방송 시절과 동일하게 볼 수 있다는 거지, '''흑백 TV로 색깔까지 볼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흑백 [[CRT]]는 컬러 디코딩을 위한 회로도 없고, 설령 엇비슷한 게 있다 한들 전자총 3개가 요구되는 컬러 CRT와는 달리 하나밖에 안 들어 있다. 또한 컬러 CRT의 '픽셀'이라고 할 수 있는 섀도우 마스크도 없으므로 '화소'라고 불릴만한 것이 애초에 존재하지 않으며 단순히 빛의 세기만을 표현한 라인만으로 화면이 구성된다.][* 속도를 프레임레이트와 동기화한 회전하는 삼색판을 화면앞에 갖다놓고 작동시켜 컬러를 구현한 실험이 있긴하다.[[https://youtu.be/tuemNKdOgwg?si=cuYxhRzbtr9MFZxq|#]]] 또한 흑백 TV까지 호환시키기 위해 NTSC-M의 컬러 규격 프레임은 초당 29.97이라는 모호한 프레임이 되었다. 흑백 신호와 색상 신호가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배치하다 보니 흑백의 30프레임에 딱 떨어지지 않고 가장 근접한 수치인 29.97이 된 것이다. [[드롭 프레임]] 참조.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6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