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NTSC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해상도 및 주사율 === 초당 [[드롭 프레임|29.97 프레임/59.94필드]]로 [[PAL]] 방식(초당 25프레임/50필드)에 비해 초당 프레임 수가 많다.[* 이는 본래 해당 국가의 가정용 교류 전력이 50Hz냐 60Hz냐에 좌우된 것으로, TV 초창기 시절 [[브라운관]]의 헤르츠를 교류 사이클에 맞춰 설계했기 때문이다. 이후 브라운관 기술의 발전으로 교류 전력에 의지할 필요가 사라졌고, 따라서 가정용 교류 전력의 주파수와 프레임이 대체로 일치하기는 하지만 완전히 부합되지는 않은 것이다.][* 브라질의 경우 예외적으로 PAL 방식 컬러 캐리어에 기존의 [[CCIR 비디오 포맷|CCIR System M]] 525라인 30프레임/60필드 규격을 적용해 호환성을 갖춘 PAL-M이라는 마개조 방식을 적용했는데, PAL 방식 색부반송파를 사용하지만 호환성을 위해 PAL의 4.43MHz 대신 NTSC와 동일한 약 3.58MHz(정확히는 3.579545) 색부반송파 대역폭을 사용한다. 이외에도 PAL60이라는 비슷한 포맷도 있는데, 이쪽은 PAL의 4.43MHz 대역폭을 유지한다. PAL TV에 60hz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었으며, [[멀티시스템]] VCR이나 게임 콘솔 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나 방송 표준으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원래 525i의 해상도를 가지지만 필드의 끝에 화상 대신 들어가는 [[수직 귀선 시간|수직 귀선 신호]] 때문에 실제로는 486i의 해상도를 가지게 되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6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