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NTSC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NTSC-J === 기본 형태인 NTSC-M을 [[일본]]이 자국의 흑백 방식인 System J에 맞추어 약간 변형시킨 NTSC-J방식이 있는데 NTSC-J 방식의 전파신호를 NTSC-M 규격의 수상기로 시청할 때 색감과 밝기가 약간 달라지는 점 말고는 호환성의 문제는 없다. 즉 주파수만 맞는다면 기본적인 시청에는 지장이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본 국내용 TV수상기로 한국의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는 데는 지장 없었다(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1970~80년대 당시 [[부산광역시|부산]], [[경상남도|경남]] 해안가 일대에서 일본 TV방송 시청이 성행했던 것도 이 때문이었다. 다만 채널 숫자가 하나씩 내려가서[* 한국은 UHF 채널이 14번부터 시작하지만 일본은 13번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그 부분을 조절해 줘야 했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1번 채널이 존재한다.] 다만 VHF 채널의 경우 [[대한민국]](2, 3, 4, 5, 6, 7, 8, 9, 10, 11, 12, 13CH)과 [[일본]](1, 2, 3, 4, 5, 6, 7, 8, 9, 10, 11, 12CH)의 Low 대역이 엇갈리므로 해당되지 않았다.[* 한국의 6번대역인 82-88MHz는 일본의 FM방송 대역이기 때문에 일본내수용 TV로는 수신할 수 없지만(특히 [[SBS]] 및 [[KBS]], [[MBC]], [[EBS]], 유선 기준 지역민방이 VHF-Low 대역에 송출되는 지역에 거주했었다면 [[헬게이트]]가 열렸다. VHF-Low와 CATV 대역의 방송을 제대로 시청하기 위해선 외장튜너로 봐야 했다. 참고로 VHF-High나 UHF대역은 해당 사항이 없으며 CATV 대역은 C13-C63에 호환되는 방송이라면 수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대다수의 수신기는 C13-C35만 지원하였으며 22, 23번은 각각 4번, 12번으로 수신된다.) 일본의 1번대역을 한국 내수용 TV에선 뜬금없이 유선 95번으로 수신이 가능한데 이유는 일본의 1번 대역인 90-96MHz가 표준 NTSC의 CATV 95번 대역이기 때문이다.([[패밀리컴퓨터|패미컴]]이나 일본제 패미클론을 연결해 봤다면 잘 알 것이다.) 라디오 쪽으로 시선을 옮기면 90-96MHz는 한국의 지상파를 기준으로 FM방송 대역이기도 해서 2011년까지 발매된 TV 1-3번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라디오가 있다면 한국의 FM방송을 청취할 수 있었다. 현재는 FM보완중계국(와이드FM)이 시행되면서 정식으로 108MHz까지 확장해 재발매.][* 참고로 일본은 EIAJ-MTS스테레오 방식이라서 국내(또는 독일)의 Zweikanalton(A2)스테레오와 호환이 되지 않는다.(이는 미국의 MTS/SAP도 동일) 몇몇 MATV장비에서 중계하는 방송을 수신하면 웅웅거리는 소리가 난다고...] 호환 채널표는 [[일본 내수용]] 문서 참고.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6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