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김씨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金]] == ||<-2><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dddddd,#222> '''로마자 표기'''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373a3c,#ddd '''RR식 표기'''}}}]] || Gim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373a3c,#ddd '''MR식 표기'''}}}]] ||<|2> Kim || || {{{#373a3c,#ddd '''통용 표기'''}}} || 김(金)씨는 [[중국]], [[대만]] 등을 포함한 중화권과 [[대한민국]]에 분포된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성씨]]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 중에서는 '''21.51%'''가 사용하는 국내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성씨로 [[경상북도]] [[성주군]]과 경북 북부 일부지역 동네 정도만 근소한 차이로 김씨가 이씨보다 적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김씨는 무려 10,689,959명으로 '''1,069만여 명'''에 달했으며, 당당히 1위를 차지했다. 인구주택총조사 때 조사된 총 인구가 51,069,375명이므로 김씨가 [[한국인]] 전체의 약 '''21%'''를 차지한다는 말인데, 쉽게 말해서 한국인 5명 중 1명이 김씨인 셈이다. [[이(성씨)|이씨]](李氏) 또한 '''약 14.3%'''로 10%를 월등히 넘으며 그 다음인 [[박(성씨)|박씨]](朴氏)는 약 8.2% 정도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특정 성씨가 전체 인구에서 10% 이상을 차지하는 나라로 [[베트남]]이 있는데, 1위인 [[응우옌]](阮, Nguyễn) 성씨를 가진 사람이 전체 인구의 '''40%''' 조금 안 된다. 2위인 Trần(陳, 쩐)이 11%, 3위 Lê(黎, 레)가 10%로 1위와 2위 간의 격차가 무려 '''30%p''' 이상이다. 베트남 이외에는 사실상 전세계에 유례가 없을 정도로 한국에는 김씨가 압도적으로 많다.[* 민족 단위까지 보면 중국의 [[회족]] 가운데서는 [[마씨]]가 30% 정도를 차지한다.] 金씨는 본래 기원전 [[한나라]] 때 중국에서 제일 먼저 생겨난 성씨이다. [[한무제|무제]]가 흉노 출신 포로에게 金씨를 하사했는데 그가 바로 [[신라]]의 [[금석문]]에서도 종종 언급되는 [[김일제]]이다. 심지어 그보다 더 이전에 이미 무제의 어머니인 [[효경황후 왕씨]]의 전남편 이름이 [[한족]] 김왕손(金王孫)이었기 때문에 세계 최초의 金씨는 기원전 중국 한나라 무제 이전부터 이미 등장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은 중국보다 한국에서 더 흔하게 볼 수 있는 성씨가 됐다. 한국에서 대표적인 성씨이다 보니, [[한국어]]가 유창한 외국인이 있으면 김씨를 붙이기도 한다. [[민니|김민니]], [[사나(TWICE)|김사나]], [[츠키(Billlie)|김츠키]], [[레이(IVE)|김레이]], [[아사(BABYMONSTER)|김아사]]가 그 예시. 한국 문화에 친숙한 외국인을 한국인처럼 친근하게 부를 때 붙이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 가장 흔한 성씨이지만 어째서인지 국내 출품 창작예술작품 및 한국을 배경으로 하는 창작예술작품 계열 인쇄매체 및 영상/전자매체 등 대중매체에서는 보기 드문 성씨이기도 하다. [[수요와 공급|아무래도 특색이 없는 성씨다 보니 실존 인물 서사를 다루는 작품이외에는 대다수 창작물 작품내 배역 명칭 선정단계에서 배제당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비슷한 사례로 [[김(성씨)|김 씨성]] 다음 으로 인구비율 높은 '''[[이(성씨)|이 씨성]]''' 도 실존 인물서사 작품 이외에는 창작예술작품 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 한국의 이름들을 무작위로 뽑아 가나다순으로 나열했을 때[* 초중고교에서 한 반의 학생들의 출석번호를 정하는 경우가 대표적.], 저학급을 제외하면 1번이 될 수 있는 마지노선의 성씨다. 특히 김씨에 2번째 글자 초성이 ㄱ~ㅁ인 경우가 그렇다. 김씨가 매우 흔하기 때문이며, 앞의 성씨들도 다소 많은 성씨들도 있지만 전체 비율로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제주도]]는 강씨와 고씨가 매우 흔하기 때문에 고씨가 1번의 마지노선이고, 김씨가 1번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54)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