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김씨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로마자 표기 == [[라틴 문자]]로 표기할 때는 99%의 대다수가 Kim으로 쓴다. 종종 Gim([[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표기) 또는 Gym이라고 쓰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이렇게 쓰면 영어권에서나 로망스어권에서는 소위 soft G 발음인 [d͡ʒ]를 적용하여 '짐'이라고 읽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 Keem이나 Keehm이라고 쓰는 경우도 있다. [[http://www.koreahealthlog.com/news/newsview.php?newscd=2004070500008|'''Ghim'''이라고 쓰는 경우도 있다.]] 음운론적으로는 보았을 때 [[한글]] [[자음]] 중에서 [[ㄱ]], [[ㄷ]], [[ㅂ]], [[ㅈ]]은 어두에서 [[무성음]]이다. 즉 어두에서 ㄱ은 [k], ㄷ은 [t], ㅂ은 [p], ㅈ은 [tɕ] 소리가 난다.[* ㅋ, ㅌ, ㅍ, ㅊ에 가까운 [kʰ\], [tʰ\], [pʰ\], [tɕʰ\]가 아님에 유의.] 즉 김을 국제음성기호로 쓰면 [kim]으로 표기되고,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는 이를 반영해 Kim으로 표기한 것이다. 한때 [[대구광역시|대구]]나 [[부산광역시|부산]]을 Taegu와 Pusan으로 썼던 것도 이에 근거한 것이다. 물론 영어권, 독어권 등의 기준으로는 /ㄱ/ [k] 발음을 의도한 어두 k 표기가 무성 무기음 [k] 정도가 아니라 /ㅋ/에 가까운 무성 유기음 [kʰ]로 발음된다는 게 함정. 사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 /ㅋ/ [kʰ] 발음은 [[아포스트로피]]를 붙인 k'로 표기하게 되어 있으나, 변별 기호를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데다가 k로 적든 k'로 적든 영어권, 독어권 등의 화자는 어두에서 [kʰ]로 발음하므로 음의 변별이 쉽지 않다. 게다가 아포스트로피는 기식(氣息, aspiration)을 더하라는 의미보다는 음절 구분 기호로 쓰일 때가 많아서 k'로 표기한다 한들 유기음이라는 의도가 잘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54)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