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민영방송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각국의 민영방송 == ※ 전국구 네트워크를 갖춘 '''지상파''' 방송사 중심으로 나열하였다. ※ 지방 거점 민영방송은 [[지역 민영방송]] 문서를, 종교재단이 운영하는 전국구 민영방송은 [[종교방송]] 문서를, 유선으로만 송출되는 민영방송은 [[종합편성채널]], [[케이블방송/채널]], [[채널 사용 사업자]] 문서를 각각 참조. * [[네덜란드]] : [[RTL|RTL4]], [[RTL|RTL5]], SBS 6, Net 5, Veronica[* 네덜란드의 민영방송은 모두 케이블로만 송출되었고, 지상파는 공영방송의 차지였다. 그러다가 디지털 지상파 TV의 등장과 함께 지상파에도 진출했다. RTL 네덜란드는 네덜란드 국내에 스튜디오가 있지만 송출은 [[룩셈부르크]] 내 RTL 본사에서 이뤄진다. 어찌 보면 편법 방송. 그리고 Veronica는 원래 불법 해적 방송이던 걸 형식적으로 한번 폐국시킨 뒤 공영방송으로 흡수시켰다가 1992년에 재민영화한 것이다.] * [[뉴질랜드]] : [[Three(뉴질랜드)|Three]], [[Prime(뉴질랜드)|Prime]], [[Bravo(뉴질랜드)|Bravo]] * [[덴마크]] : TV2[* 광고 수익으로 운영되며 편성 전략은 상업방송과 다를 바 없는데, 특이하게 입법부가 소유하고 있었다. ~~MBC~~ ~~영국 Channel 4~~ 공영방송이자 국가기간방송인 [[DR(덴마크 방송사)|DR]]은 행정부 관할. 여담으로 덴마크의 [[지역방송|텔레비전 지역 뉴스]]는 별도의 지역 방송사가 제작해 이 곳에서 방송한다. DR은 지역 텔레비전 방송을 안하고 지역 라디오 방송은 한다.] * [[대한민국]] : [[SBS]][* 1980년 11월까지는 [[동양방송|TBC]]와 [[문화방송|MBC]]가 전국구 민영방송 구도를 양립하고 있었으나 [[언론통폐합]] 과정에서 MBC는 KBS가 과반 지분 75%를 취득하는 형식으로 강제 공영화되었고 TBC는 KBS에 장물 대부분을 뺏긴 채로 사라지면서 11년의 세월 동안 공적 기관이 방송 전파를 독점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은 1991년 SBS의 설립 및 개국으로 해소되었다. 업계에서는 관행적으로 SBS에 공영방송 KBS와 MBC를 합쳐 지상파 3사 내지는 방송 3사라고 묶어 부르고 있으며, 공식적으로는 EBS까지 포함해 지상파 4사지만 EBS의 독특한 포지션 때문에 이렇게 묶이는 경우는 드물다.] * [[독일]] : [[RTL]], Sat.1, Prosieben, Kabel 1 * [[미국]] : [[ABC(미국)|ABC]], [[CBS(미국)|CBS]], [[NBC(미국)|NBC]], [[FOX]][* 미국은 민영방송 천국이다. 지상파 외에도 케이블/위성을 달면 수많은 민영방송이 그야말로 쏟아져 나온다. 정부가 공공 방송에 관여하는 건 다른 나라보다 많이 늦었고, 민영에 비해 경영상으로 고전하고 있을 정도. (민영과 비슷한 시기에 공공 방송의 시초인, 대학의 비영리 교육 방송이 생겼는데 말이다.)] * [[벨기에]] : VTM, VT4, [[RTL|RTL-TVI]] * [[브라질]] : [[Rede Globo]], Rede Record, SBT, Rede Bandeirantes, RedeTV!, Rede Gazeta * [[아르헨티나]] : America 2, Canal 9, Telefe, El Trece * [[스페인]] : Antena 3, Cuatro, Telecinco, La Sexta[* 민영 상업 텔레비전이 허용된 이후 Antena 3, 프랑스 기업이 주도한 Canal+, 그리고 [[실비오 베를루스코니]]의 [[메디아셋]]이 주도한 Telecinco가 같은 해에 개국하였고, 전국 단위 지상파 상업 TV 체제는 한동안 이렇게 굳어있었다. 이후 Canal+가 지상파에서는 같은 회사의 Cuatro로 대체되었고(Canal+는 케이블과 위성에서 계속 방송되었다.), 후발 주자로, 멕시코 텔레비사가 지분을 갖고있던 La Sexta가 개국한 게 전부였다. 그러다 메디아셋이 Cuatro를 인수하고, 뒤이어 Antena 3도 La Sexta를 인수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Antena 3와 La Sexta의 현행 모회사는 Atresmedia이고, Telecinco와 Cuatro는 Mediaset España Comunicación. 여담으로 인수되기 이전의 La Sexta는 [[대악사|Sex가 나오는 어느 일본 야애니]]를 틀었다가 한동안 시끄러웠다. 아무리 늦은 시간대였다지만 지상파에서, 그것도 야한 [[OVA]](방송용으로 기획된 게 아니다)를 틀어주면 어쩌라고...] * [[아일랜드]] : [[TV3]] * [[영국]] : [[ITV(영국)|ITV]], [[채널 4]][* MBC 비슷하게 공영화된 상업 방송으로, 주로 광고 수입으로 먹고 산다.], 채널 5 * [[이탈리아]] : Rete 4, Canale 5, Italia 1, Italia 2[* 이 4개 채널은 [[실비오 베를루스코니]]가 소유한 '''[[메디아셋]]'''의 채널들이다.], La 7, Cielo, TV8, * [[인도네시아]] : RCTI, SCTV * [[일본]] : [[닛폰 테레비]], [[TBS 테레비|TBS]], [[후지 테레비]], [[테레비 아사히]], [[테레비 도쿄]][* 이 5개의 방송사에 공영방송 NHK를 합쳐 재경 텔레비전 6사(在京テレビ6社) 또는 재경 6국(在京6局)이라고 묶어 부르고 있다.] * [[홍콩]] : [[TVB]], [[HKTVE|ViuTV]] * [[대만]] : [[CTV]], [[타이완 텔레비전|TTV]], [[민간전민 텔레비전|FTV]] * [[캐나다]] : [[CTV]], [[TVA]], Global, City, Omni * [[포르투갈]] : SIC, TVI * [[프랑스]] : [[TF1]][* 원래는 [[공영방송]]이었으나 1987년에 [[민영화]]되었다.], [[카날+|CANAL+]], [[RTL|M6]] * [[핀란드]] : MTV3, Nelonen * [[오스트리아]] : [[ATV#s-4]] * [[필리핀]] : [[ABS-CBN]], TV5, GMA * [[노르웨이]] : TV2, TVNorge * [[호주]] : [[채널 7]], 채널 9, 채널 10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6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