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서울특별시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대광법상 지정된 도시권 인구수를 서울특별시, 또는 수식어가 붙지 않은 '서울'의 인구로 서술하지 않는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
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
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대광법상 지정된 도시권 인구수를 서울특별시, 또는 수식어가 붙지 않은 '서울'의 인구로 서술하지 않는다.
토론
- 프로필 표 내 서울특별시의 영문명을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로 서술한다.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상징 == ||<tablebordercolor=#ae1932><bgcolor=#ae1932><tablewidth=100%> {{{#fff {{{+1 '''서울의 휘장'''}}}}}} || ||<bgcolor=#fff,#1c1d1f>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width=150]] || || {{{#000,#fff 한글 '서울'을 서울의 산, 해, 한강으로 나타내면서 전체적으로는 신명나는 사람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인간 중심 도시'를 지향하는 서울을 상징한다. 자연, 인간, 도시의 맥락 속에서 녹색 산은 환경 사랑, 청색 한강은 역사와 활력, 가운데 적색 해는 미래의 비전과 희망을 함축하고, 이 세 요소를 붓터치로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서울의 이미지와 사람의 활력을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했다.}}} || ||<bgcolor=#ae19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휘장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tablewidth=100%><width=33%><colbgcolor=#fff,#1c1d1f> [[파일:서울특별시 휘장(1947-1996).svg|width=100%]][br]{{{-2 1947년 4월 1일~1996년 10월 27일}}} ||이 휘장은 1947년 당시 [[서울특별자유시]][* 미군정기 서울의 행정명]를 둘러싸고 있던 8개의 산인 남산, 와우산, 안산, 인왕산, 북악산, 낙산, 무학봉, 응봉을 상징하는 8각의 외각 안에 도성을 나타내는 원을 넣은 모습이다. 도봉산, 관악산 등이 없는 이유는 이들 지역은 이 당시에는 아직 서울시 행정구역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서울 이전의 명칭이었던 경성부의 휘장은 [[경성부]] 문서를 참고.] 산하 구청에서는 1990년대 초중반까지 같이 썼고, 1990년대 중후반까지 서울 관내 동사무소 현판에 쓰이기도 했다. 지금은 쓰이지 않지만, [[맨홀]] 등에 아직까지 꽤 남아있기도 하다. || || [[파일:경성부 휘장(1925-1945).svg|width=100%]][br]{{{-2 1925년~1945년}}} ||이 휘장은 1926년에 개정되어[* 도성에 경계를 두어 둘러 막은 것이 발전하는 [[경성부]]의 모습을 상징하기에 부족하고 미술적인 효과도 떨어진다는 이유에서였다.] 해방 이전까지 통용된 [[경성부]] 휘장. 다우치 후미쿠라(田內文藏)라는 사람이 공모전에 응모한 도안이 활용되었다. 전체적으로는 경성부의 '京(경)'자를 도안화한 것으로 위에 있는 山(산)은 북한산을, 아래의 山은 남산을 뜻하며 가운데의 작은 원은 경성부 시가지를 의미한다.[* 여담으로 [[영등포역]] 앞 [[영중로]]4~6길 사이 콘크리트 맨홀과 서울역사박물관 앞 횡단보도에 있는 맨홀에도 이 휘장이 새겨져 있다.] || || [[파일:제1기 경성부 휘장(1918~1925).png|width=100%]][br]{{{-2 1918년~1925년}}} ||작은 원을 둘러싼 큰 원은 도성 주변이 산에 둘러싸였음을 의미한다. 그 안에 [[경성부]]의 '京(경)'자를 넣었다. 이러한 전체적인 모양은 1996년 이전의 서울시 휘장에까지 반영되었다. ||}}}}}}}}}}}}}}} || ||<tablebordercolor=#ae1932><bgcolor=#ae1932><tablewidth=100%> {{{#fff {{{+1 '''서울의 시기'''}}}}}} || ||<bg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300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서울특별시 시기.svg|width=100%]]}}} || ||<bgcolor=#ae19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시기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tablewidth=100%><width=33%><colbgcolor=#fff,#1c1d1f> [[파일:서울특별시기(1946-1996).svg|width=100%]][br]{{{-2 1946년~1996년}}} ||1946년부터 1996년까지 쓰인 서울의 시기이다. ||}}}}}}}}}}}}}}} || ||<tablebordercolor=#ae1932><bgcolor=#ae1932><tablewidth=100%> {{{#fff {{{+1 '''서울특별시의 시정 슬로건'''}}}}}} || ||<bgcolor=#fff,#1c1d1f> [[파일:동행 매력 특별시 서울.svg|width=250]] || || {{{#000,#fff [[오세훈]] 시정 4기 서울시정 [[슬로건]]}}} || ||<bgcolor=#ae19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시정 슬로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tablewidth=100%><width=33%><colbgcolor=#fff,#1c1d1f> [[파일:창의시정.jpg|width=100]] ||[[오세훈]] 시정 1기 서울시정 슬로건 || || [[파일:디자인서울.jpg|width=100]] ||[[오세훈]] 시정 2기 서울시정 슬로건 || || [[파일:희망 서울 로고.jpg|width=100]] ||[[박원순]] 시정 1기 서울시정 슬로건 || || [[함께서울|[[파일:함께서울.png|width=100]]]] ||[[박원순]] 시정 2기~3기 서울시정 슬로건[* I·SEOUL·U가 제정되기 이전까지 Hi seoul를 대신해서 사용되었다.] || || [[다시 뛰는 공정도시 서울|[[파일:다시 뛰는 공정도시 서울.svg|width=100]]]] ||[[오세훈]] 시정 3기 서울시정 슬로건 ||}}}}}}}}}}}}}}} || ||<tablebordercolor=#ae1932><bgcolor=#ae1932><tablewidth=100%> {{{#fff {{{+1 '''서울의 브랜드와 슬로건'''}}}}}} || ||<bgcolor=#fff> [[SEOUL, MY SOUL|[[파일:Seoul My Soul.svg|width=250]]]] || || {{{#000,#fff '서울을 이루는 중심에는 사람이 있고 서울을 향한 다양한 마음이 모여 더 좋은 서울을 만들어 간다.’는 의미를 담았다. 영문 타이포 디자인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메타포(metaphor, 간접적이고 암시적인 은유)기법을 활용하여 서울에 대한 다양한 마음을 이미지화 했다. 하트(LOVE), 느낌표(INSPIRE), 웃음(FUN)은 각각 마음이 모여 사랑으로 가득 찬 도시 서울, 다채롭고 새로운 경험을 주는 도시 서울, 즐겁고 매력으로 가득 찬 매력 도시 서울을 의미하며 사람들의 다양한 마음이 모여 조화를 이루는 매력 있는 도시 서울을 상징한다.}}} || ||<bgcolor=#ae19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브랜드와 슬로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tablewidth=100%><width=33%><colbgcolor=#fff,#1c1d1f> [[Hi Seoul|[[파일:Hi seoul.svg|width=120]]]] || 대한민국 최초의 지자체 브랜드이며 2002년 7월부터 2006년 11월 12일까지 사용되었다. [br] ([[이명박]] 시정) || || [[Hi Seoul-Soul of Asia|[[파일:HiSeoul.svg|width=120]]]] || 2006년 11월 13일에 기존의 브랜드에 'Soul of Asia'라는 슬로건을 추가하여 2015년 10월 27일까지 사용되었다. [br] ([[오세훈]] 1~2기, [[박원순]] 1기) || || [[I·SEOUL·U|[[파일:서울특별시 브랜드_I SEOUL U.svg|width=120]]]] || 2015년 10월 28일부터 처음 사용되어 2015년 11월 24일에 부분 개정되었고 이후 2023년 8월 16일까지 사용됐던 서울의 브랜드와 슬로건이다. [br] ([[박원순]] 2~3기, [[오세훈]] 3기) ||}}}}}}}}}}}}}}} || ||<tablebordercolor=#ae1932><bgcolor=#ae1932><tablewidth=100%> {{{#fff {{{+1 '''서울의 마스코트'''}}}}}} || ||<bgcolor=#3162b1,#1c1d1f> [[파일:해치와 소울 프렌즈.svg|width=300]] || ||<bgcolor=#f991d0> {{{#FFF {{{+1 '''해치와 소울 프렌즈'''}}}}}} || ||<bgcolor=#ae19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마스코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tablewidth=100%><width=33%><bgcolor=#fff,#1c1d1f> [[파일:서울정도600캐릭터.jpg|width=100]] ||서울 정도 600 기념으로 만들어진 마스코트였으며, 다울이, 새울이, 신명이, 여울이로 구송되어 있다. 왕범이 개발 이전까지 사용되었다.|| ||<-2> '''{{{#000,#fff 1995 ~ 1998}}}''' || ||<colbgcolor=#fff,#1c1d1f> [[파일:서울특별시 구 마스코트_왕범이(리뉴얼 전).svg|width=100]] ||구 왕범이. 왕범이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의 마스코트인 [[호돌이]]와 호순이의 자식이라는 설정이다. || ||<-2> '''{{{#000,#fff 1998 - 2006}}}'''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angbomi.gif|width=100]] ||신 왕범이. 2006년 6월에 리뉴얼되었으며 사용된 기간이 짧아 대중에게 비교적 생소한 마스코트이기도 하다.|| ||<-2> '''{{{#000,#fff 2006 - 2009}}}''' || ||<bgcolor=#fff,#1c1d1f> [[파일:해치 2D.svg|width=100]] ||2009년부터 2024년까지 약 15년간 사용되었던 마스코트 해치. 사용되었던 기간이 상당히 길었기에 대중 사이에서도 잘 알려진 캐릭터이기도 하다.|| ||<-2> '''{{{#000,#fff 2009 - 2024}}}''' || }}}}}}}}}}}}}}}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6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