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서울특별시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대광법상 지정된 도시권 인구수를 서울특별시, 또는 수식어가 붙지 않은 '서울'의 인구로 서술하지 않는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
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
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대광법상 지정된 도시권 인구수를 서울특별시, 또는 수식어가 붙지 않은 '서울'의 인구로 서술하지 않는다.
토론
- 프로필 표 내 서울특별시의 영문명을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로 서술한다.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교육 === [[남녀 공학]]인 [[고등학교]]가 상당히 적다.[* 바로 옆에 있는 [[인천광역시|인천]]에 비하면 양반이다. 여기는 남녀공학이 서울보다도 더더욱 보기 드물고, 중학교도 [[남중]]ㆍ[[여중]]이 많다.] 과반수 이상이 [[남고]], [[여고]]뿐이며, 겨우 있는 남녀공학 고교들은 [[남녀분반]]을 시킨다.강남은 학구열, 강북은 [[역사]]와 [[전통]] 보존 문제 때문이다. 서울 소재의 남녀공학 고등학교는 서울의 30%도 되지 않는다. 이 쯤되면 서울도 꽤 보수적인 지역이라는 것이다. 남녀공학이며 [[공립학교]]인 중학교는 3년 내내 전원 [[남녀합반]] 이지만, 고등학교는 그렇지 않다. 남녀공학에 남녀합반 시스템까지 갖춘 고등학교를 찾을려면 서울이 아니라 [[경기도]]에서 찾아야 한다.[* [[용산구]], [[마포구]], [[종로구]] 등의 경우. 특성화고는 남녀공학이지만, 일반고 남녀공학은 아예 없거나 내지는 끽해야 1~2개가 끝이다.] [[경기도]]에는 상당히 많은 남녀공학 학교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출산]] 문제 때문에 서울 소재 남녀공학 고등학교들이 3년 내내 남녀합반하는 쪽으로 변경 중에 있다. 서울의 교육은 그야말로 [[대한민국]] 전체 교육의 축소판이자 '''한국적 교육열'''의 산실이다. [[돼지엄마]]라고 하는 자녀를 명문대에 보내기 위한 부정한 대입 정보통 집단까지 존재하는 등 극렬한 사교육 풍조의 대표. 다수 유망 대학의 소재는 '[[인서울|서울 내 대학교는 곧 명문대]]'라는 인식을 팽배하게 했고 수도권의 집중화를 가속시켰다. 특히나 [[강남구]] [[대치동]]으로 대표되는 입시학원의 메카이기도 하다. 오죽하면 전국에서 [[야간자율학습]]이 가장 빨리 자율화가 이루어질 정도다. [[노원구]] [[중계동]], [[송파구]] [[방이동]], [[광진구]] [[광장동]], [[양천구]] [[목동(서울)|목동]]도 만만치 않다.[* [[대치동]], [[중계동]], [[목동(서울)|목동]]을 묶어서 3대 학군이라 한다.][* [[강남구]], [[서초구]]로 이루어진 [[강남 8학군]]이 대표적이다.] [[용산구]], [[마포구]], [[서초구]]의 학군도 좋기로 소문이 나 있다.[* 특히 용산 [[용강중학교(서울)|용강중학교]]의 시험 문제는 서울 내에서도 어렵기로 유명하다.] 그러나 [[구로구]], [[금천구]], [[관악구]],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종로구]], [[동대문구]], [[중랑구]]의 경우 학군이 썩 좋지 못하다고 평가된다. 하지만 중구와 종로구는 서울의 [[서울특별시/도심권|원도심]]이라 역사가 오래된 공립, 사립학교들이 예전부터 대거 위치해 있었고, 동대문구도 자사고가 2개나 위치한 곳으로 비교적 나쁘지 않은 학군들이다. 사실 학구열은 [[대구광역시|대구]]의 [[수성구]]처럼 보수적이지만, 교육에 대해서는 굉장히 진보적이다. 교육에 대해서 보수냐 진보냐 문제와 학구열은 별개이기 때문이다. 상술했듯 서울 소재의 몇 안 되는 남녀공학들이 남녀합반을 한다고 해도 3년 내내 하지 않았던 것은 순전히 서울의 전통 영향이지, 교육에 대해 보수적이어서가 절대 아니다. 오히려 [[체벌]]이나 강제 [[야간자율학습]]은 전국에서 제일 먼저 사라졌다. [[학생인권조례]]도 전국에서 3번째로 통과되었고[* 경기도, 광주 다음], 상술했듯 서울의 중학교는 [[공립학교]] 기준으로 남녀공학일 경우에 남녀분반인 중학교가 단 1곳도 없다. 이 영향으로 서울 사람들에게 남녀분반 중학교를 언급하면 [[문화충격]]을 받거나 놀란다. 서울은 약 [[2000년]] 정도부터 관내 모든 공립 남녀공학 중학교가 3년 내내 남녀합반을 당연시 여겨왔기 때문이다. 서울에서 학교를 다닌 [[30대]]들도 대부분 중학교 하나는 3년 내내 남녀합반만 다녔었다. [[저출산]], 학령 인구 감소의 여파를 서울도 피해갈 수 없었다. 그나마 남아있는 젊은층과 아이들도 서울보다는 경인 지역으로 몰려들면서 저출산의 여파를 오히려 더욱 심각하게 받고 있는 지역이다. 2015년 흥일초등학교(금천구), 2020년 공진중학교, 염강초등학교(이상 강서구), 2023년 화양초등학교(광진구)가 폐교됐고 2024년에는 [[덕수고등학교]](특성화 계열)[* 일반계열 학생은 2022년 위례신도시로 이전했으며 특성화 계열 학생은 2024년 졸업생이 마지막이다. 특성화계열 교육과정은 경기상업고등학교로 통폐합된다.], [[도봉고등학교]], [[성수공업고등학교]][* 2024년 졸업생을 끝으로 [[휘경공업고등학교]]로 통폐합된다.] 등이 폐교 예정이다. 또한 학생 수 감소의 영향으로 [[남녀 공학]]으로 전환하는 학교들이 나타나고 있다. [[장충고등학교]](중구)는 2023년 입학생부터 여학생을 받기 시작했으며, [[대경중학교]](중구)는 2022년 입학생부터 여학생을 받기 시작했다.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3/03/29/IZGUNL4WV5GJJOPG6S4L52GWCM/?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6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