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종합편성채널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지상파 방송과의 공통점 === * '''시사보도 뉴스를 포함'''한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을 편성할 수 있다. 다만, 오락 예능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전체 편성 프로그램의 60% 이하로만 가능하다. 그래서 지상파 예능보다 프로그램 하나의 분량이 상당히 긴 편이다.[* 이 규정은 2024년부터 폐지된다.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101343|참조]]] * 인터넷 공식 홈페이지에서 온에어(실시간 방송보기)를 무료로 제공하며(JTBC 제외), 다시보기 VOD 서비스(유료일 수도 있음)를 제공한다. 일반 케이블 방송의 경우 온에어 제공을 하지 않거나, 유료로 제공하는([[CJ ENM]] 등) 곳들이 많다.[* 다만 현재 [[JTBC]] 홈페이지의 온에어/다시보기 서비스는 뉴스와 옴부즈맨 프로그램인 [[시청자 의회]] 등 몇몇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료로 제공된다.] * 방송법 제87조에 의해 시청자 평가 프로그램([[옴부즈맨 프로그램]])을 편성해야 한다. * 시청률 집계 조사에서 일일 시청률 집계 시간이 06시부터 익일 01시까지이다. * --대형 사건이 생겼을 때 정규방송을 끊고 일제히 [[뉴스특보]]를 내보낸다. 이는 오히려 지상파 방송보다 더 철저한 편이다.--[* 이 점은 2022년 기준 JTBC만 해당되므로 논외. 게다가 이것도 지상파와 비슷한 수준이다.] * 자체제작(외주제작 포함) 프로그램의 편성 비중이 높고 타방송사에서 구입한 프로그램의 비중이 적다. * [[한국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쿼터제|의무편성 대상]]에 포함된다. * [[설날]]과 [[추석]] 등 [[명절]]연휴 기간 동안 특선영화를 편성한다. * [[방송통신위원회]] 인증 긴급재난방송사로 지정되어 있다. 태풍, 해일, 지진, 대형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 10초 이내에 해당 사항을 자막으로 띄울 수 있게 [[대한민국 소방청|소방청]] 등과 협약을 맺었다. 지상파 4개 방송사([[KBS]], [[MBC]], [[SBS]], [[EBS]]), 종합편성채널 4개 방송사는 모두 지정되어 있고, 기타 채널로 [[YTN]]과 [[연합뉴스TV]]까지 10개 채널이 있다. * 자사 콘텐츠들을 [[재방송]]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 방송]]을 두고 있다. 다만 지상파 3사와 JTBC는 케이블 채널을 담당하는 기업이 계열사로 분리되어 있으며 MBN, 채널A, TV조선은 계열사 분리 없이 하나의 방송국에서 관리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6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