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종합편성채널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지상파 방송과의 차이점 === * [[케이블 방송]], [[스카이라이프]], [[IPTV]] 등 유료방송 서비스에 가입한 가구만 시청할 수 있다.[* 단 MBN만은 비록 [[SD(해상도)|SD]] 화질이지만 무료위성으로도 재송출하고 있어 안테나/LNB 구입비만 감내하면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 MBN, JTBC가 DMB 단영 사업자인 U1, QBS와 손잡고 지상파 DMB에 진출했으나 DMB 시청인구의 감소, 그로 인한 시장의 축소 등으로 인해 지상파 DMB에서 철수했다.(정확히 말하자면 JTBC가 먼저 철수하고 MBN은 2021년 12월 U1이 사업을 정리하면서 함께 철수했다.)] * [[KBS/전국 방송망|지국]]이나 [[문화방송 계열 지상파 방송사|지역 계열사]], 제휴 [[지역민방]]이 없으며[* 단 JTBC의 경우 지상파 TBC 시절에 군산 서해방송 / 광주 전일방송 / 대구 한국FM방송이라는 제휴 지역 방송사와 부산직할국을 두고 있었다.], 각 IPTV와 케이블 방송사에서 넣는 2분 단위의 지역광고를 제외하고는 전국적으로 똑같은 내용이 송출된다.[* [[KBS 2TV]](UHD 한정)와 [[EBS 1TV]]/[[EBS 2TV|2TV]]도 전국적으로 동일한 내용이 송출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래서 지역방송이나 종교방송 등 중소방송에 떼줄 광고료가 없기 때문에 같은 시청률이라도 지상파보다 광고 마진이 높다. * --[[중간광고]]가 허용된다.--[* JTBC의 경우 TBC 시절에 1973년까지 합법적으로 중간광고를 한 적이 있고, 2017년부터 지상파 방송도 편법(하루 방송분을 1편과 2편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중간광고를 하고있기 때문에 의미없는 차이점이긴 했으며, 2021년 7월부터 지상파 중간광고가 전면 허용되면서 차이가 거의 없어졌다. 그러나 [[신청곡을 불러드립니다 - 사랑의 콜센타]]와 같이 중간광고가 있는 종편에서도 1부와 2부로 나뉜 프로그램이 가끔 있다.] NEXT VCR 후 거기서 고지한 다음 프로그램의 오프닝이 전까지 나오는 광고 편성 방식이 지상파와는 확실히 다르다. 혹은 이전 프로그램 엔딩 후 바로 다음 프로그램 오프닝이 바로 나오거나 그 사이에 뭐가 나오더라도 프로그램 예고편, 혹은 시보광고 정도만 나오고 마는 경우도 있는 채널도 있다. * 지역 SO들이 중간에 [[지역광고]]를 삽입할 수 있다. * [[라디오]] 방송을 겸영하지 않는다.[* 종편4사 중 TV조선은 처음부터 라디오 방송을 하지 않았지만 JTBC나 채널A의 경우 [[언론통폐합]] 이전에 [[라디오]] 방송을 했었다. JTBC: AM 639khz 동양라디오([[KBS 제3방송]]),FM 89.1mhz 동양FM([[KBS 제2FM]]),채널A: AM 792khz [[동아방송]]([[KBS 라디오서울]] 1991년 이후 [[SBS 러브FM]]) MBN도 MBC와 손잡고 2005년부터 2011년까지 DMB 라디오 방송을 했었다.] 다만 라디오와 마찬가지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24시간 방송을 하는 게 일반적이다. * 순위제 형식의 [[음악 방송]]이 없다.[* 예: [[뮤직뱅크]], [[쇼! 음악중심]], [[SBS 인기가요]] 등. 그러나 과거 이들 방송의 차트는 관리상의 어려움과 차트 공정성 문제로 폐지됐다가 다시 부활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때 [[JTBC]]의 [[뮤직 온 탑]], [[채널A]]의 [[K POPCON]], [[MBN]]의 [[SHOW K MUSIC]]으로 [[TV조선]]을 제외한 모든 종편 채널에서 순위제 음악 프로그램을 방영했었으나 시청률이 안 나와서인지 모두 종영했다. 추가로 JTBC의 경우 TBC 시절에도 가요베스트10 이라는 순위제 음악 프로그램을 편성한 적이 있었는데, 언론통폐합 이후에 나온 [[가요톱10]]의 전신이다. 2022년 9월 24일부터 JTBC에서 방송되는 [[K-909]]가 있지만 시즌제 음악방송이다.] 영화 정보 프로그램이나 연예 정보 프로그램도 TV CHOSUN이 무비 스페셜, 영화 보기 좋은 날과 무비&컬처 레드카펫을 폐지한 이후 한동안 지상파에서만 했지만 JTBC에서 [[방구석 1열]]이, 채널A에서 송은이 김숙의 영화보장이 방영되고, [[MBC]]의 [[섹션TV 연예통신]]과 [[SBS]]의 [[본격연예 한밤]], [[KBS]]의 [[연중 플러스]]가 폐지되면서 반드시 지상파에서만 방영되지는 않게 되었다. * 허가 조건에 걸린 관계로 '''방송사 주최'''의 연예대상, 연기대상, 연말 가요제를 개최하지 않는다.[* JTBC의 경우 [[언론통폐합]] 이전 시절인 1970년부터 1979년까지 [[동양방송|TBC]] 연기대상을 개최한 적이 있었고, 1965년부터 1980년까지 TBC 방송가요대상을 개최한 적이 있었다.] 다만 TV CHOSUN의 경우 한 차례 트롯 어워즈를 개최하긴 했다. * [[올림픽]], [[FIFA 월드컵]], [[아시안 게임]] 등의 국민 관심이 높은 스포츠 대회의 중계권을 확보하지 못했었기 때문에 지상파 방송과는 달리 이들 대회를 중계하지 못했다.[* 다만 아시안컵, WBC, 월드컵 예선 등의 중계권을 산발적으로 확보하기도 했다.] 이후 [[JTBC]]가 2026년부터 2032년까지의 [[올림픽]] 중계권을 확보하였으며, [[TV CHOSUN]]이 SPOTV로부터 중계권을 구매해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을 중계하면서 --질적으로는 몰라도-- 양적으로는 차이가 없어졌다. * 낮[[정파(방송)|정파]] 경험이 없다.[* 지상파 방송사로는 [[OBS경인TV]]와 [[EBS 2TV]]가 낮정파 경험이 없다. 다만 JTBC의 경우 TBC 시절까지 합산하면 낮정파 경험이 있다.] * 2013년부터 [[심야 뉴스]], 주말 [[아침 뉴스]]는 아예 편성하지 않고 있다. * 어떤 한 프로그램을 재방송으로 송출할 때 지상파 방송보다 재방송 송출 횟수가 더 많은 편이다. 다만 지상파 방송도 예전에 비해서는 재방송 송출 횟수가 많아지고 있다.[* 이렇게 재방송 송출 횟수가 늘어나는 원인은 방송 시장의 변화로 인한 순수익 감소, 점차 줄어드는 사내유보금, 그로 인해 더욱 빡빡해지는 가용 자금이 원인이다. 요약하자면 경영 악화. ~~그럴거면 낮정파 부활이라도...~~]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6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