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김씨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지역별 분포 == [[https://sgis.kostat.go.kr/statbd/family_01.vw|2015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주로 [[강원특별자치도|강원]] [[영동]], [[경상도]] 북부 및 동해안, [[전라도]] 남서부,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에서 높은 비율로 발견할 수 있는 성씨라고 한다. 이들 지역은 평균적으로 인구의 25% 이상이 김(金)씨인 곳으로, 전국의 김(金)씨 비율인 21.51%보다 상당히 많은 김(金)씨가 분포하고 있다.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충청도]], [[강원특별자치도|강원]] [[영서]]에 많은 [[이(성씨)|이(李)씨]]와 상반된 분포를 보이는 특징도 있다. 김(金)씨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지역은 [[전라남도]] [[장흥군]]으로, 무려 인구의 '''30.15%'''가 김(金)씨다. 그 뒤를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삼척시]](29.64%), [[경상북도]] [[의성군]](28.86%),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양양군]](28.56%),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동해시]](28.41%)가 이었다. 반대로 김(金)씨가 가장 적게 분포하는 지역은 [[경상남도]] [[합천군]]으로, 고작 인구의 '''18.38%'''만이 김(金)씨다. 그 뒤를 [[경상남도]] [[함안군]](18.93%), [[경상남도]] [[산청군]](18.98%), [[인천광역시]] [[강화군]](19.15%), [[경기도]] [[하남시]](19.19%)가 그 뒤를 이었다. [[경상북도]] [[성주군]]은 김(金)씨가 인구의 21.08%로 전국과 유사한 분포를 보이지만, 이(李)씨가 이보다 0.41% 많은 21.49%를 보여서[* 사실 성주군을 관향으로 삼는 이씨 씨족은 무려 여섯이나 된다.([[성주 이씨]], [[성산 이씨]], 경산 이씨, [[벽진 이씨]], 광평 이씨, 가리 이씨)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근소한 차이로 김(金)씨는 지역 2위 성씨가 되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김(金)씨가 1위가 아닌 지역인 셈이다. 본관별로 따지면 [[김해 김씨]]는 [[전라남도]] [[신안군]]과 [[완도군]], [[경상남도]] [[통영시]] 등 전라도 남서부, 경남 남부에 많이 분포하고, [[경상북도]] [[영주시]], [[봉화군]], [[청송군]] 등 경북 북부에 적게 분포한다. [[경주 김씨]]는 [[충청북도]] [[보은군]], [[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양양군]] 등 중부지방에 많이 분포하고, [[전라남도]] [[신안군]], [[무안군]], [[나주시]] 등 전라도 남서부에 적게 분포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54)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