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서울특별시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대광법상 지정된 도시권 인구수를 서울특별시, 또는 수식어가 붙지 않은 '서울'의 인구로 서술하지 않는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
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
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대광법상 지정된 도시권 인구수를 서울특별시, 또는 수식어가 붙지 않은 '서울'의 인구로 서술하지 않는다.
토론
- 프로필 표 내 서울특별시의 영문명을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로 서술한다.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외국어 표기 == ||<-2><table 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ddd,#222> '''언어별 명칭''' || ||<width=130> [[한국어|{{{#373a3c,#ddd '''한국어'''}}}]] || 서울 || || [[영어|{{{#373a3c,#ddd '''영어'''}}}]] || Seoul || || [[프랑스어|{{{#373a3c,#ddd '''프랑스어'''}}}]] || Séoul || || [[스페인어|{{{#373a3c,#ddd '''스페인어'''}}}]] || Seúl || || [[러시아어|{{{#373a3c,#ddd '''러시아어'''}}}]] || Сеул || || [[표준 중국어|{{{#373a3c,#ddd '''중국어(간체자)'''}}}]] || 首尔 (Shǒu’ěr) || || [[아랍어|{{{#373a3c,#ddd '''아랍어'''}}}]] || سول || || [[광동어|{{{#373a3c,#ddd '''광동어'''}}}]] || 首爾 (sau2 ji5) || || [[마인어|{{{#373a3c,#ddd '''마인어'''}}}]] || Seoul || || [[몽골어|{{{#373a3c,#ddd '''몽골어'''}}}]] || Сөүл || || [[베트남어|{{{#373a3c,#ddd '''베트남어'''}}}]] || Seoul / Xơ-un || || [[일본어|{{{#373a3c,#ddd '''일본어'''}}}]] || ソウル || || [[표준 중국어|{{{#373a3c,#ddd '''중국어(번체자)'''}}}]] || 首爾 (Shǒu’ěr) || || [[태국어|{{{#373a3c,#ddd '''태국어'''}}}]] || โซล || || [[페르시아어|{{{#373a3c,#ddd '''페르시아어'''}}}]] || سئول || || [[히브리어|{{{#373a3c,#ddd '''히브리어'''}}}]] || סיאול || || [[힌디어|{{{#373a3c,#ddd '''힌디어'''}}}]] || सियोल / सोल || || [[그리스어|{{{#373a3c,#ddd '''그리스어'''}}}]] || Σεούλ || || [[네덜란드어|{{{#373a3c,#ddd '''네덜란드어'''}}}]] || Seoel || || [[독일어|{{{#373a3c,#ddd '''독일어'''}}}]] || Seoul || || [[스웨덴어|{{{#373a3c,#ddd '''스웨덴어'''}}}]] || Seoul || || [[이탈리아어|{{{#373a3c,#ddd '''이탈리아어'''}}}]] || Seul || || [[튀르키예어|{{{#373a3c,#ddd '''튀르키예어'''}}}]] || Seul || || [[포르투갈어|{{{#373a3c,#ddd '''포르투갈어'''}}}]] || Seul || || [[폴란드어|{{{#373a3c,#ddd '''폴란드어'''}}}]] || Seul || || [[라틴어|{{{#373a3c,#ddd '''라틴어'''}}}]] || Seulum || || [[에스페란토|{{{#373a3c,#ddd '''에스페란토'''}}}]] || Seulo || [include(틀:다른 뜻, 설명1=중화권에서 부르는 표기/명칭, 문서명1=서우얼)] 서울은 한국의 다른 도시에 비해 오래 전부터 서양에게 잘 알려진 도시였기에, 서양에서는 각 언어권마다 자체적으로 표기를 만들어 쓰는 경우가 많다. 가장 보편적인 표기인 Seoul은 표준적인 로마자 표기법 제정 전부터 쓰였다. 조선시대 서울의 공식 명칭은 [[한성부|한성]]이지만, 조선 후기에는 이미 수도를 뜻하던 일반명사 서울이 이 지역을 가리키는 것으로도 사용되었다. 때문에 역대 조선을 방문했던 외국인이 한성/한양보다 구어체인 서울을 자국어 음운에 맞게 표기했다. '''Seoul''' 꼴의 표기를 주도한 언어는 [[프랑스어]]로, 프랑스어의 음운 표기를 알면 왜 이런 철자로 적은 건지 알 수 있다. 프랑스어에서 u가 단독으로 있을 때는 [[고모음#전설 원순 고모음|/y/ 발음]]이고, 우리가 아는 [[고모음#후설 원순 고모음|/u/ 발음]]은 ou로 표기한다.[* b'''u'''ffet ([[뷔페|'''뷔'''페]]), b'''ou'''tique ([[부티크|'''부'''티크]])] [[펠릭스클레르 리델]]의 [[한불자전]](1880)에는 모음 'ㅓ'를 e로 표기했지만, 이후에는 [[다이어크리틱|양음 부호]]가 붙은 Séoul이 정착되어 오늘날까지 이른다.[* 프랑스어에서 e 단독 발음으로는 [[중모음#중설 중모음|/ə/ 발음]]을 가지며, 'ㅡ' 내지는 'ㅓ'에 가깝게 들린다. 한불자전의 저자도 이를 노리고 표기한 것 같으나, 막상 부호가 붙은 'é'는 [[중고모음#전설 평순 중고모음|/e/ 발음]], 즉 명백하게 /ㅔ/ 발음을 나타낸다는 것이 아이러니다.] [[영어]]는 프랑스어 표기에서 부호가 빠져 정착되었다. 이 Seoul이라는 표기는 로마자 표기가 중구난방인 한국어 고유명사 표기 중에서는 상당히 일관성 있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한국인이 로마자 사용 언어로 글을 쓸 때 한국의 다른 지명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나 그 언어권에서 원래 쓰는 철자를 따르지 않고 제멋대로 쓰는 경우(특히 영어 음운에 맞춰서)가 있는데[* [[경주시]]를 '''Kyungjoo'''라고 쓰는 꼴을 예로 들 수 있다.], 서울은 이런 경우가 매우 드물다.[* 여기까지 봐도 알겠지만, 'ㅓ'를 eo로 옮겨 적는 것으로 정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현행 표기법]]과도 같다.] [[1939년]] 발표되어 국내외에서 오랫동안 표준으로 사용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의해 Sŏul로 써야 하지만, '''Seoul'''이란 표기가 더 오래된 만큼, 예외적으로 사용하거나 '''Seoul (Sŏul)''' 따위로 병기하는 사례가 많다.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의 [[https://www.britannica.com/event/Korean-War#/media/1/322419/70868|한국 전쟁 초기 전황 지도]]를 보면 한반도의 지명들이 전부 MR 표기법에 맞춰서 제작되었지만, 서울만 Seoul로 썼다. Seoul 다음으로 자주 쓰는 표기가 스페인어나 포르투갈어 등에서 쓰는 '''Seul''' 꼴인데, 이는 영어처럼 프랑스어의 Séoul(세울)을 참고하여 자국어에 맞게 철자를 변경했다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 [[스페인어]]에서는 Seúl로, [[포르투갈어]]에서는 Seul로 표기하며 [[독일어]]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불어 철자를 그대로 따르되, 부호는 뗀 Seoul로 쓴다. [[네덜란드어]]로는 ㅜ 발음을 oe로 적기 때문에 Seoel이라고 표기하며, 발음은 세울 내지는 쎄울로 발음한다. 네덜란드어의 u는 프랑스어처럼 /y/ 발음. [[헝가리어]]로는 Szöul이라고 표기하고 쐬울이라고 읽는다. 헝가리어에서 s는 영어의 sh와 같은 발음이고 ㅅ 발음은 sz로 표기한다. 이는 서울의 옛 독일어 이름인 Söul에서 유래된 것. 독일어는 초기에 한국어의 ㅓ를 ö로 옮겼던 적이 있다. [[로마자]]의 모음에 해당하는 문자들 중 직접적으로 ㅓ라는 소리를 담고 있는 문자가 없기 때문에, 비영어권의 경우 Se-(o)ul로 음절을 나누어 대부분 쎄울이라고 발음하는 편이지만 영어권의 경우 비슷한 철자의 단어인 '''Soul'''과 동음이의어로 쎄울이라고 발음한다. 실제로 영어권 외국인들도 Soul이라는 단어를 연상하는지 "북한은 Seoul(소울)이 없어서 실패한 거다"라는 [[아재개그]]를 종종 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일본어]]로는 [[일제강점기]] 시절 京城(けいじょう, [[경성부|경성]])라고 부르다가 1948년 서울특별시로 지정되면서부터 서울의 음을 딴 '''ソウル'''로 표기를 바꿨다. 재밌게도 Seoul의 영어식 발음에서 Soul of Asia와 [[SEOUL my SOUL]]을 이끌어냈듯 일본어에서 영혼을 뜻하는 Soul도 서울과 똑같은 ソウル를 쓰기 때문에 서로 중복된다. 서울이 한국어 고유어인 탓에 서울이 공식 이름이 된 해방 이후에도 [[중국어]]로는 漢城/汉城(Hànchéng, 한청)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 때문에 [[서울대학교]]로 보내는 우편물이 [[한성대학교]]로 잘못 가거나 또는 그 반대가 생기고 한성(漢城)의 중국식 발음인 한청과 서울의 발음상의 괴리로 혼선이 많이 생기면서 곤란해하자, [[2005년]] [[1월 19일]] 발음이 서울과 유사하며 으뜸되는 곳(수도)이라는 뜻을 지닌 [[首尔]](首爾, 수이, Shǒu’ěr, '''서우얼''') 이라는 한자로 당시 [[서울시장]]으로 재임하던 [[이명박]] [[전 대통령]]이 특별기자회견을 열어 서울의 공식 중국어 표기를 발표했다. 처음에 중화권이 보인 반응은 썩 좋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한국이 협의도 없이 首尔로 바꿨다고 불만이 있었던 듯 하지만, [[신화통신]] 등 각종 중국어 매체들이 首尔 표기를 채택하면서 현재는 널리 쓰이고 있다. [[러시아어]]로는 세울이라는 발음에서 Сеул이라는 표기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실제 발음은 е가 연모음인 점과 강세의 영향으로 실제로는, 씨울에 가깝다. 한국어를 키릴 문자로 옮기는 대표적인 체계인 콘체비체 체계에 따르면 Соуль로 적는 것이 맞으나 이미 굳어진 표기라서 그런지 [[러시아]]를 포함한 [[키릴 문자]] 사용 언어에서는 대부분 Сеул을 쓰고 있다.[* [[평양시|평양]]도 콘체비체 체계로는 Пхёнян(프효냔)이 맞겠지만, Пхеньян(프헤니얀)이라는 표기로 굳어져 이렇게 쓰이고 있다.] [[아랍어]]로는 'سيول'또는 'سول' 이며 발음은 앞에서부터 씨울, 쑤울 정도이다. 표준 아랍어에서는 모음이 'a', 'i', 'u'밖에 없으므로 모음에 해당하는 부분이 많이 바뀐다. [[알바니아어]]로는 서울을 '''서울(Sëul)'''로 표기한다.[* '평양'은 '프히엉양(Phjëng’jang)'으로 표기한다.] [[라틴어]]로는 '''세울룸(Seulum)'''으로 표기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6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Liberty
|
the 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