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2
r2
1 ADC(항체-약물 접합체)
2
3 항체 (Antibody): 특정 암세포 표면에 발현된 항원을 인식하고 결합하는 역할을 합니다. 항체는 주로 단일클론 항체 (monoclonal antibody, mAb)를 사용하며, 종양 특이적인 표적을 찾아 선택적으로 결합합니다.
4
5 약물 (Drug, Payload): 항암 약물은 세포 독성이 강력한 화합물로, 주로 DNA 손상, 세포 주기 억제 또는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약물이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예로 메이탄신 (maytansinoid) 및 아우리스타틴 (auristatin) 계열 약물이 있습니다.
6
7 링커 (Linker): 항체와 약물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안정적이면서도 종양 세포 내에서 약물을 방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링커는 체내에서의 분해 안정성 및 종양 미세환경에서의 선택적 분해 특성을 고려해 설계됩니다.
8
9 ADC의 작동 원리는 세 단계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10
11 '''STEP1''' (항체와 표적 세포 결합): 항체가 암 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발현된 항원에 결합합니다. 이 과정에서 비표적 세포는 손상되지 않습니다.
12
13 '''STEP2''' (내포작용 및 약물 방출): 항체가 표적 세포에 결합한 후, 세포 내로 흡수되어 엔도좀 (endosome)과 리소좀 (lysosome)에 의해 약물이 방출됩니다. 이때 링커가 분해되면서 강력한 항암 약물이 세포 내에 직접 전달됩니다.
14
15 '''STEP3''' (세포 사멸 유도): 방출된 약물은 세포 내에서 DNA를 손상시키거나 세포 분열을 억제하여 세포 사멸 (apoptosis)을 유도합니다. 이를 통해 선택적으로 암 세포만 제거할 수 있습니다.